2024년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인상, 신청기간, 방법은?

현 정부는 야심차게 청년금융상품인 청년리프통장을 출시했지만, 가입률과 유지율이 예상보다 낮았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청년들의 가입을 장려하기 위해 기여율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4년 청년리프통장 정부 기여금 인상, 신청기간,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청년리프통장 정부 기여금 인상 청년리프통장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청년 대상 금융상품으로, 월 최대 70만원까지 예치가 가능한 무이자 저축상품입니다.
은행이자, 최대 6%의 정부 기여금, 비과세 혜택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가입 조건은 34세 이하 청년,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중위소득 250% 이하입니다.
정부 기여금 납부 한도, 매칭 비율, 한도는 가입자의 개인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
소득에 따라 월 최대 21,000원~24,000원까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이 받습니다.
원래는 지급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는 기여금을 지급하지 않았습니다.
정부에서 이 부분을 개선하였고, 향후에는 매칭 한도가 모든 소득구간에 대한 지급 한도(월 40만/50만/60만 원 -> 월 70만 원)로 인상되고, 확대된 구간(월 40만~70만 원/50만~70만 원/60만~70만 원)에는 3.0%의 매칭 비율을 적용하여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다만 개인 소득이 6,000만원을 초과하는 분은 기존과 마찬가지로 비과세만 받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3개 소득구간에 대한 금액이 인상됩니다.
2,400만원 이하: 24,000원 ​​-> 월 33,000원(9,000원↑) 2,400만원~3,600만원: 23,000원 ​​-> 월 29,000원(6,000원↑) 3,600만원~4,800만원: 22,000원 ​​-> 월 25,000원(3,000원↑) 아쉽게도 4,800만원~6,000만원 구간의 정부 지원 한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월 21,000원입니다.
예를 들어 개인 소득이 2,400만원 미만인 가입자가 월 70만원을 납부하는 경우 기존에는 40만원까지만 6.0%의 매칭율이 적용되어 월 24,000원이 납부되었습니다.
다만, 앞으로 40~70만원 범위에는 3.0%의 매칭 금리가 적용돼 월 납입액은 33,000원으로 9,000원 ​​증가하게 됩니다.
이 경우 만기 시 수령하는 총액은 60만원(이자 포함)이 늘어나 연 최대 9.54%의 이자율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청년도약통장 신청 기간 방법 청년도약통장은 매월 신청을 접수합니다.
9월 신청 기간은 9월 2일(월)부터 13일(금)까지입니다.
은행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하시면 됩니다.
앱에서 가입을 신청하면 소득 및 기타 자격 심사를 거치게 되며, 심사에 합격한 분들은 계좌 개설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1인 가구는 9월 24일(화)부터 10월 18일(금)까지, 2인 이상 가구는 10월 4일(금)부터 10월 18일(금)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2024년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금 인상, 신청기간,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행히 저는 소득기준이 중위소득의 250%로 상향돼서 얼마전에 가입할 수 있었지만, 정부지원금 인상 혜택을 못 받고 있네요…ㅠㅠ 소득기준 충족하시는 분들은 최근 정부지원금 인상으로 혜택을 더 많이 받으실 수 있을 테니,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예치금을 늘리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 ▼ 소득기준 완화 및 조기해지 기준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 청년리프계좌 조건 완화: 중위소득 250%, 조기해지(저도 가입했어요!
) 현 정부의 가장 야심찬 청년정책인 청년리프계좌의 소득조건이 완화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에는… blog.naver.com